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인테리어 : 나만의 베란다 인테리어 꿀팁 알아보자

by 나동스토리 2023. 3. 17.
반응형

 

집 안에서도 나만의 공간인 베란다는 홈 카페나 미니정원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아파트 구조상 확장형이라 어쩔 수 없이 작은 평수에서는 넓은 베란다를 기대하기 어려운데요.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좁은 거실과 방 사이의 애매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들을 많이 하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런 고민을 해결해 줄 어러 가지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베란다는 어떤 공간인가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발코니와는 다른 개념인 베란다인데요. 영어로는 Veranda라고 합니다. 이 단어 뜻 그대로 '아래층과 위층의 면적 차이로 생긴 바닥 중의 일부'라는 의미입니다. 즉, 아래층의 지붕 부분이 위층의 실내 바닥이 된 곳입니다. 따라서 건물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열재나 방수공사 등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반응형

- 베란다 확장 선택

요즘 아파트들은 대부분 베란다가 작게라도 있습니다. 이 작은 공간이라도 있으면 빨래를 널거나 짐 보관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요, 만약 거실과 방을 넓게 쓰고 싶다면 베란다 확장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단열 공사나 바닥공사 등 신경 써야 할 게 많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특히 겨울에 추위를 많이 타시는 분이라면 더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반대로 나는 넓은 평수보다는 아담한 사이즈의 집이 좋다 하시는 분들은 굳이 베란다 확장을 하지 않고 그대로 두는 경우도 많은데요. 취향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 베란다 바닥재 선택

보통 타일 같은 경우엔 물 사용이 많은 곳에만 시공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최근에는 원목마루 느낌의 데코타일로도 충분히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헤링본 패턴 같은 경우 북유럽풍 스타일이라서 더욱 인기가 많습니다. 그리고 우드 톤의 마룻바닥이 싫으신 분들은 밝은 톤의 대리석 무늬 장판을 깔아도 좋습니다.

 

반응형

▣ 베란다 조명 선택

조명 하나로 달라지는 분위기 다들 아실 텐데요. 기존 형광등 대신 LED 등으로 교체한다면 전기세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눈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거기다 밝기 조절 기능이 있다면 상황에 따라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훨씬 실용적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레일 조명 설치 시 천장 높이가 낮아서 불편하다면 브래킷을 따로 구입해서 달아주셔도 좋습니다.

 

 

▣ 베란다 벽 페인팅

사실 페인팅 작업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러나 내구성 좋고 오염에 강한 세라믹 페인트라면 셀프 페인팅 도전해 볼 만합니다. 게다가 결로방지 효과까지 있어서 곰팡이 걱정도 없습니다. 또한 친환경 수성페인트라서 냄새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색상도 다양해 원하는 색깔로 마음껏 칠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 아이 방이라면 더더욱 좋습니다.

 

- 베란다 페인트칠 방법

페인트칠하기 전 먼저 곰팡이 제거제를 이용해서 곰팡이를 모두 제거해 줍니다. 이후 마스킹 테이프를 이용해서 보양 작업을 해주는데 이때 테이프 간격은 5mm 이내로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으로는 1차 젯소 도포 후 2차 페인트 도장을 하면 끝입니다. 참고로 수성페인트라면 4시간이면 마르게 되고, 유성페인트라면 하루 이상 말려야 합니다.

 

반응형

▣ 베란다 타일 시공 시 주의사항

타일 시공 시 바닥면과 벽면 사이에 줄눈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백시멘트 가루가 많이 날리게 됩니다. 그래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며, 물을 충분히 뿌려주고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기존 바닥 철거 후 재시공이라면 난방용 드라이 픽스를 사용하여야 하며, 덧방(기존 타일 위에 새 타일을 붙이는 방식)이라면 압착 시멘트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방수작업 및 실리콘 마감 처리를 해야 완벽하게 마무리됩니다.

 

 

좁은 공간이지만 여러 가지 방법으로 꾸며보면 전혀 다른 매력을 가진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합니다. 여러분도 어렵게만 생각하지 말고 차근차근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