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기초 용어 개념 제대로 알고 투자하자

by 나동스토리 2023. 2. 28.
반응형

 

주식이란 회사의 지분을 일정 금액만큼 소유함으로써 주주가 되어 배당금과 주가 상승 차익을 얻는 투자 방법입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 이후 동학 개미 운동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주식용어들을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럼 지금부터 주식 기초 용여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주식거래시간

정규장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이며 이 시간 동안 거래 체결이 되지 않은 주문은 장 종료 후 10분간 동시호가로 접수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가 결정 및 결제 등의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장전/장후 시간 외 거래란 무엇일까요?

정규장 의외의 시간인 오전 8시 30분~8시 40분 / 오후 4시~4시 10분 동안 이루어지는 거래로써 당일 매매체결되지 않은 수량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또한 전일 종가로만 거래되는 단일가매매 방식이기 때문에 다음날 시초가 형성에 영양을 미칩니다.

 

 

▶ 매수란 무엇인가요?

'산다'는 뜻입니다. 즉 주식을 사는 행위를 말하며 이때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단위를 '지분'이라고 합니다.

 

 

▶ 매도란 무엇인가요?

'판다'는 뜻입니다. 즉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만약 내가 A 기업의 주식을 100원에 10주 갖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주가가 올라서 150원이 됐다고 한다면 나는 5주를 팔아 500원을 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익을 내는 방법을 '차익거래'라고 합니다. 반대로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손절매'라고 하는데요. 손절매는 자신이 산 금액보다 낮은 금액에 팔아서 손실을 최소화하는 투자방법입니다.

 

반응형

▶ 코스피, 코스닥 차이

코스피는 대기업 위주로 상장되어 있으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등 대부분의 우량주들이 속해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중소기업 위주의 시장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 씨젠, 알테오젠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습니다.

 

 

▶ 호가 창 보는 방법

우선 빨간색 봉은 양봉이라 부르며 시가보다 높은 가격에 마감되었을 때 나타납니다. 반대로 파란색 봉은 음봉이라 부르며 시가보다 낮은 가격에 마감되었을 때 나타납니다.

 

다음으로 차트 보는 방법입니다. 일봉차트는 하루 단위의 주가 흐름을 보여주는 차트로 단기 흐름 파악에 용이하며 월봉차트는 한 달 단위의 주가 흐름을 보여주는 차트로 장기 흐름 파악에 용이합니다.

 

 

▶ 기업가치란 무엇인가요?

기업가치란 쉽게 말해서 해당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자본) + 부채(빚) = 시가총액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자본금이 1억이고 빚이 2억이라면 이 기업의 가치는 3억 원이 됩니다. 즉,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액인 시가총액이 곧 기업의 가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 차트분석이란 무엇인가요?

차트분석이란 말 그대로 주가의 흐름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보고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주가는 수많은 요인들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조지표나 거래량 등을 참고하기도 합니다.

 

 

▶보조지표란 무엇인가요?

보조지표란 특정 지표를 활용하여 투자자가 조금 더 쉽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대표적인 보조지표로는 이동평균선, MACD, RSI, 스토캐스틱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십 가지의 보조지표가 존재합니다.

 

 

오늘은 주식 기초 용어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의 재테크 생활을 위해 경제 공부 열심히 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